
파비앙은 1998년에 아버지와 함께 일하기 시작하였으며, 2005년부터 운영을 이어 받아 현재 자신만의 고유한 레이블을 갖추었다. 1998년부터 가족이 소유하고 있는 40개의 포도밭에 모두 유기농 법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포도를 인위적으로 키우지 않고, 최대한 사람 손을 타지 않게 하여, 매우 순수한 포도로 자란다. 파비앙은 SO2가 없는 산도와 순수성을 지니고 있다.
Wine Advocate의 William Kelley는 도멘 파비앙 코세를 다음고 같이 평가했다. "도멘 파비앙 코세는 꼬트 드 본에서 가장 과소 평가된 고품질 화이트 부르고뉴 와인이다. 고전적으로 균형잡힌 교과서적인 뫼르소 와인을 양조한다."
사유지는 Meursault, Pommard, Auxey-Duresses, Monthélie, Saint-Romain, Saint-Aubin 및 Puligny-Montrachet에 걸쳐 12 헥타르의 포도 나무를 보유하고 있다.
부르고뉴 코뜨 드 본의 중심에 위치한 '본' 지역에서 남쪽에 위치한 포도밭은 동향을 향해있다. 덩굴과 바위가 많고,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을 가졌다. 그만큼 포도는 더욱 복합적인 맛을 띄게 된다. 석회암, 점토의 조화를 이루는 토양은 산비탈의 자연스러운 시냇물과 어우러져 독특한 떼루아를 형성한다. 한번 맛보면 잊을 수 없는 맛을 약속한다고 와이너리는 말한다. 포도는 주로 뫼르소의 상징인 샤르도네 품종을 양조한다.
도멘 코세 파비앙은 병입, 양조에서 전통적인 방식을 고집하며, 토양의 떼루아를 잘 보존하고 환경 보호에 앞장서기 위해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포도는 손으로 수확하며, 전체 포도 다발을 압착하고 숙성은 와인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뫼르소의 경우 최대 18개월까지 오크통에서 장기 숙성을 거치고, 알리고테와 부르고뉴의 경우 최대 12개월까지 숙성한다. 레드 와인은 포도 다발 채 매우 부드러운 침지와 펌핑을 거치며, 숙성 후 신선도와 기교를 강조하기 위해 소량의 새 오크 숙성 후 병입한다.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