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켈러 메스트호픈 키르스피엘 리슬링 카비넷
켈러 와이너리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이름으로써 독일의 Rheinhessen 지역에 속한 Florsheim-Dalsheim에 위치하고 있다. 1789년을 시초로 스위스에서 독일로 이민을 온 Johann Leonhard Keller에 의해 포도 재배가 시작되어졌으며 그곳은 Dalsheim 지역에서 유명한 Hubacker 포도밭이였다. 지금까지도 이곳은 켈러 가문의 소유로써 95%의 면적에서 리슬링이 재배되어지며 이 와인에스테이트는 Klaus Keller 와 그의 아들 Klaus-Peter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포도밭의 총 면적은 12.5헥타르이다. Burgel과 Hubaker, Silberberg (Monsheim), Kirchspiel 과 Morstein (Westhiofen)가 그 이름이다. 수확되어지는 포도품종으로는 (5.5헥타르) 리슬링, 피노블랑(1헥타르) 리슬라너 그리고 그외 기타 품종들을 기르고 있으며 최고의 품질과 수준높은 퀄리티로 인정받고 있다. 이 와이너리는 VDP (Verband deutscher Pradikats-und Qualitats-Weinguter) 협회의 멤버이기도 하다.
Read more
리슬링의 매력 포인트는 2가지입니다.
Aroma(아로마) & Acidity(산도)인데 그 앞에 “매력적인” 이라는 단어가 붙는다. 와인을 싫어하는 분들에게 “와인이 왜 싫으세요” 라고 물어보면 상당수의 대답이 “시고 떫어서 싫다”라고 말하는데 그러면 매력적인 산도라는 말은 무엇인가?
사과를 예로 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달콤한 사과를 맛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사과에 신맛이 없고 달기만 하다면 맛도 없을 뿐만 아니라 쉽게 질립니다. 사과가 주는 달콤함 뒤에 청량감을 주는 산도가 꼭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리슬링은 부사, 홍옥 같은 붉은 사과가 아니라 풋사과(아오리)같이 상큼한 신맛이 매력적인 화이트 품종입니다.
일반적으로 레드 와인은 남성에 많이 비유를 하고 화이트 와인은 여성에 많이 비유합니다.
샤르도네는 예쁜 여자, 소비뇽 블랑은 화려한 여자 마지막으로 리슬링은 날씬한 여자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와인을 만들 때 많이 사용하는 오크를 보통 화장에 많이 비유하는데 오크를 많이 사용하면 ‘화장발’이라고 표현하고 오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생얼’이라고 표현하기도 한합니다.
리슬링은 매력적인 꽃향기가 강한 품종이라 대부분의 와인메이커들이 오크를 사용하지 않고 당도가 높지 않고 산도가 강한 품종이라 전체적인 골격이 날씬하고 깨끗합니다.
그래서 좋은 리슬링을 ‘화장을 하지 않는 깨끗한 생얼 미인’이라고 표현합니다.
리슬링은 어떤 맛과 향이 날까?
높은 산도와 결합한 날카로운 아로마를 볼 때 소비뇽 블랑과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나, 소비뇽 블랑은 풀냄새, 푸른색 열매(구즈베리)가 특징이라면, 리슬링은 꽃향기, 신선한 푸른 사과, 감귤의 향, 미네랄, 꿀 향이 두드러진다. 숙성에 따라 복합적인 향으로 발전하며 휘발성의 느낌이 있다. 오크 숙성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
-> 짜릿한 꽃향기와 산도를 가진 화이트 와인
리슬링과 잘 어울리는 음식 Big 3
산도가 좋은 리슬링 품종은 약간 기름기가 있는 음식 혹은 중국 음식과 잘 어울립니다.
리슬링의 본고장인 독일과 프랑스 알자스에서 많이 먹는 소시지나 햄과 함께 리슬링을 마시면 아주 좋고 거기에 약간의 야채를 곁들이면 금상첨화입니다. 베이컨도 물론 좋습니다.
리슬링에는 돼지고기도 좋지만 닭고기도 훌륭한 파트너가 될 수 있으며 일반 후라이드 치킨이나 양념치킨 보다는 간장소스를 사용한 치킨과 잘 어울립니다.
짤짤한 맛이 강한 치즈 중에서 체다(Cheddar)처럼 맛과 향이 강한 치즈와 잘 어울립니다.
독일 최대의 와인 산지인 라인헤센(Rheinhessen)은 완만한 구릉지 계곡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와인은 로마 시대부터 라인강 왼쪽 강둑에서 이곳에서 재배되었으며 독일 포도원 위치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서인 니에르슈타이너 글록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다른 독일 지역과 마찬가지로 화이트 와인이 주를 이루고 리슬링, 뮐러 투르가우가 비슷한 비율로 재배되고 있고, 다음으로 실바너 피노 그리 등이 뒤를 따른다. 레드 품종은 돈펠더, 피노 누아 등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