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끌로 테라자스 라우렐
지역내에서 젊은 양조자들에게 와인 메이킹의 대모라는 칭송을 받고 있는 다피네 글로리안(Daphine Glorian)은 이 지역(Priorat)내의 전설적인 인물로 특별하고 예외적인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스위스에서 태어나고 자란 다프네 글로리안은 미국의 유명한 부띠크 와인 수입업자인 에릭 솔로몬의 아내이다. 1990년대 초반 이 지역의 유명한 르네 바비에르와 알바로 팔라시오스와 함께 프리오랏 지역을 여행하던 중 잠재력을 확인하여 작은 포도원을 구입하게 되었고, 이 지역에 다시 와인산업을 중흥 시키는데 그들과 동참하게 되었다. 현재 17.3에이커의 포도농장에서(2004년에 6.2 에이커 새로 식재) 단 두종류의 와인을 생산하고 있으며(Clos Erasmus, Laurel), 품종은 그레나쉬 70%, 까베르네 쇼비뇽 20%, 시라 10% 정도이다. Clos Erasmus의 생산량은 연간 5,000병 내외이며 1989년 처음 와이너리를 조성했을 때부터 유기농법으로 와인을 경작하다가 2004년 바이오 다이나믹 농법으로 전환했다. 포도원별로 각 구역을 정해 분리하여 양조하기 때문에 작은 발효조나 오크 통에서 양조한다. 특히 끌로 에라스무스의 경우 225리터 오크 통에서 발효한다. 이 와인은 Robert Parker로부터 100점을 받은 몇 안되는 스페인 와인으로 구하기 힘들기로 유명하다.
Read more
"짜릿함보다는 그윽함을 주는 레드 와인”
프랑스에서는 Grenache(그르나슈)라고 부르고, 스페인에서는 Garnacha(가르나챠)라고 부르는 이 품종의 가장 큰 특징은 알코올 도수가 높다는 것과 자극적이지 않고 부드럽고 은은하게 다가오지만 은근한 파워를 보여주는 것 이 두 가지다.
시라와 함께 대표적인 지중해 품종으로 시라가 짜릿하고 자극적인 첫 맛이 매력적이라며 그르나슈는 첫 맛에서의 임팩트는 없지만 입안에서 서서히 힘을 보여주는 뒷맛이 매력적인 품종이다. 시라가 젊은 남자의 이미지가 강하다면 그르나슈는 좀 나이가 든 중장년 남자처럼 삶의 무게와 연륜에서 오는 묘한 매력의 느낌을 주는 품종이다.
탄닌이 약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 Syrah(시라) 또는 Mourvedre(무르베드르)와 블랜딩을 많이 하며 특히 호주에서는 Grenache-Shiraz-Mourvedre를 블랜딩해서 GSM이라는 약자로 전면 레이블에 많이 표시하고 있다.
그르나슈는 어떤 맛과 향이 날까?
스파이시하면서도 과일 향이 풍부하고 알코올 성분이 높은 와인을 만들 수 있는 품종이 그르나슈이다. 더위를 좋아해서 산도가 높지 않고 적당한 바디감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숙성이 빨리 되는 편이다. 탄닌이 강하지 않아서 부드럽고 목넘김이 좋은 특징도 있다.
높은 당도로 주정 강화와인을 생산하기도 하며, 색상이 연하여 로제 와인 생산에도 많이 사용된다.
* 주정 강화와인 : 발효과정에서 도수가 높은 알코올을 첨가해서 발효과정을 멈추게 만든다. 그러면 단맛이 있으면서도 알코올 도수가 높은 와인을 만들 수 있다.
-> 부드럽고 그윽한 맛이 매력적인 레드 와인
그르나슈 의 주요 생산지
스페인 : 가르나챠로 불리는 스페인의 그르나슈는 높은 당도로 인해 풍부한 알코올을 지닌 볼륨있는 와인이 생산되며, 살짝 스파이시한 아로마를 가진다. 부드러우면서도 마시기 편한 와인이다.
프랑스 론 : 론 밸리의 남쪽에서 생산되며, 좀 더 섬세한 느낌과 함께 라벤더, 오레가노 등의 허브 향이 매력적이다. 스페인 그르나슈 보다는 조금 더 산도-바디-탄닌의 균형감이 더 좋은 편이다.
호주 풍부한 과일향과 부드러운 감초향이 느껴진다
-> 그르나슈는 아주 진한 와인은 아니지만 뜨거운 태양을 가진 스페인이나 호주의 그르나슈는 묵직하고 넉넉한 바디감을 가진 와인이 만들어 진다.
계단식 포도밭, 슬레이트 토양, 일교차가 큰 기후의 영향으로 탄탄한 산도와 넉넉한 바디감과 구조, 깊이를 가진 멋진 지중해서 포도가 만들어지는 곳입니다. 그르나슈와 카리냥이 특히 많이 재배하고 유명한 지역입니다. 프리오라트는 좁은 지역으로 특이하게 몽상 DO가 프리오라트를 둘러싸고 있는 모양이 무척 재밌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