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인켈러하이 헤시타임 데빌스 락 피노 누아
가족 기업인 Group Les Grands Chais de France(LGCF)는 Joseph Helfrich에 의해 1979년에 설립되었다. 프랑스 주요 지역 포도 재배자의 특권적인 파트너이자 3,000ha이상의 포도나무를 재배하는 포도 재배자이기도 한 GCF 그룹은 한 세대도 지나지 않아 알자스, 쥐라, 디오아, 랑그독의 주요 플레이어가 되었다. 보르도, 발 드 루아르, 부르고뉴 그리고 최근에는 프로방스등으로 사업을 확장한 그는 현재 프랑스 최고의 개인 와인 메이커이다. GCF 그룹은 와인과 증류주 거래에서 도약을 거듭하였으며 시장에 귀를 기울이면서 인지도 있는 브랜드로 소비자들이 높이 평가하는 제품들을 개발할 수 있었다. J.P. CHENET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프랑스 와인 브랜드이기도 하다. Hechtsheim 와이너리는 프랑스 그룹 Les Grands Chais de France에 속하며 마인츠에 기반을 두고 있다.
Read more
피노 누아는 위에서 말한 것처럼 무한 매력이 있는 포도 품종이며, 와인 애호가라면 한번쯤은 꼭 한번 빠지는 품종입니다. 반드시 한번은 꼭 빠지게 됩니다.
피노 누아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탄닌(떫은 맛)은 약하고 산도는 강하며 신선한 과일의 맛과 향이 느낄 수 있는 레드 와인입니다.
한국인들은 독주를 즐겨 마시기 때문에 피노 누아를 처음 마셔본 사람은 맛이 좀 어색합니다.
알코올 도수도 낮고 묵직한 맛도 떨어지기 때문이며 좀더 거칠게 말하면 밋밋합니다.
그래서 와인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에게 추천했을 때 거의 좋은 소리를 들어본 적이 없지만 와인을 조금씩 마셔봄에 따라 맛이 강한 칠레 와인을 즐겨 마시던 사람들도 결국은 꼭 한번은 피노 누아의 매력에 빠지게 됩니다.
유럽과 미국 같은 서양인들은 우리와 달리 피노 누아를 초보자들에게 많이 권합니다.
그들에게 피노 누아의 매력은 Easy to Drink, 즉 마시기 쉬워서 즐겨 마시는 사람이 많습니다. 한국에 피노 누아는 “고급 와인” 또는 “애호가의 와인”로 인식되는 것과 참 많이 다릅니다.
피노 누아는 어떤 맛과 향이 날까?
색이 옅고, 껍질은 얇아서 탄닌이 강하지 않으며, 매력적이고 우아한 향이 있어 다른 품종에서는 느낄 수 없는 피노 누아 만의 매력이 있습니다.
숙성 초기에는 체리, 딸기, 산딸기와 같은 향을 주로 맡을 수 있으며 숙성된 와인에서는 장미, 송로 버섯, 가죽 향 등이 복합적으로 어울어진 깊은 풍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 화사한 향과 상큼한 산도가 매력적이며 가격이 비싼 미식가의 와인
팔츠는 독일에서 가장 큰 지역 중 하나이며(독일에서 가장 큰 레드와인 생산 지역) 미국에서 판매되는 독일 와인의 3분의 1을 생산하는 곳으로, 팔츠(Pfalz)라는 단어는 궁전을 의미하는 라틴어 팔라티움(palatium)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향이 풍부하고 바디감이 풍부한 유쾌하고 부드러운 화이트 와인은 리슬링과 뮐러-투르가우 포도로 생산되며, 도른펠더(Dornfelder) 포도에서는 깊고 복합적인 레드 와인이 생산됩니다. 팔츠는 세계에서 가장 큰 와인 배럴, 세계 최대의 와인 축제(Bad Durkheim), 팔츠 역사 박물관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최초이자 가장 잘 알려진 와인 루트인 독일 와인 로드(German Wine Road)가 있는 곳입니다.
Read more